
#16 <2025년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(A유형) 별첨 안내자료 – 세부 과제 목록 (51~100)>
Tasks
<2025년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(A유형) 별첨 안내자료 – 세부 과제 목록 (51~100)> 부산대학교 –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: 「지역위기시대 혁신교육공동체 실현과 확산」 서울대학교 –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: 「지능형 도시: 기회와 위험, 정책대응」 강원대학교 – 교육연구소: 「교육재정 확충 및 합리적 운용 방안 연구」 고려대학교 – HRD정책연구소: 「지속적인 성인역량 강화를 위한 체제 구축 연구」 한양대학교 – 한국교육문제연구소: 「사회구조변화 대응 사회정책 연구」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– 공공정책연구소: 「교육데이터 개방·분석 기반 중장기 교육정책 연구」 한신대학교 – 유라시아연구소: 「북방지역 엘리트 연구와 한반도 정세예측모형 개발」 부산외국어대학교 – 아세안연구원: 「아세안 소지역 연계 기반 신남방정책 고도화 연구」 조선대학교 – 동북아연구소: 「러시아기록보존소 소장 한국현대사 자료 DB 구축」 광주과학기술원 – 융합교육 및 융합연구센터: 「장기 냉전 구조 연구」 한양대학교 – 동아시아문화연구소: 「조선 후기 야사총서 DB 구축」 한국외국어대학교 – EU연구소: 「신(新) 사회계약론 탐구: 대전환 시대 유럽의 응전」 고려대학교 – 민족문화연구원: 「호모 아토포스의 인문학: 이름 없는 자들과 비정형 네트워크」 아주대학교 – 인문과학연구소: 「디지털역사학 정립과 확산: 조선시대 지배엘리트 연구」 동서대학교 – 동아시아연구원 중국연구센터: 「동아시아 서발터니티와 시민성 연구」 계명대학교 – 여성학연구소: 「전환의 시대, 지역·여성과 삶의 생산 연구」 영남대학교 – 독도연구소: 「독도학 확산 및 교육 활성화 연구」 성균관대학교 – 교육과 미래연구소: 「첨단산업 인재양성 지원 정책 연구」 연세대학교(미래캠퍼스) –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: 「교육 국제화 및 교류협력 추진 연구」 서울대학교 – 진로직업교육연구센터: 「진로·직업교육 혁신 및 지원 방안 연구」 고려대학교 – 비교거버넌스연구소: 「위기관리와 민주적 거버넌스 연구」 한림대학교 – 건강과뉴미디어연구센터: 「AI 기반 지역사회 건강·환경 소통전략 연구」 충북대학교 – 한국지방교육연구소: 「지방교육자치 발전 방안 연구」 단국대학교 – 한국고전문학텍스트연구소: 「조선 후기 한시 연구와 지형도 정립」 경상국립대학교 – 경남문화연구원: 「근대 전환기 강우지식인 학술지도 연구」 중앙대학교 – 중앙철학연구소: 「신뢰사회를 위한 소통과 돌봄의 철학적 토대 연구」 한신대학교 – 종교와과학센터: 「포스트휴먼 신경인문학 구축」 강원대학교(삼척) – 중독과 트라우마 회복연구소: 「스포츠트라우마 학문 생태계 구축」 충북대학교 – 국가위기관리연구소: 「국가핵심기반체계 적응력 강화 연구」 건국대학교(GLOCAL) – 지식콘텐츠연구소: 「지역문화예술자원 DB 구축 및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」 한양대학교 – 비교역사문화연구소: 「구한말 민사재판 자료 DB화 연구」 아주대학교 – 삶의질연구센터: 「중장년 남성의 자살·우울·불안 디지털 심리학 연구」 고려대학교 – 스페인·라틴아메리카 연구소: 「라틴아메리카의 갈등과 통합 연구」 강원대학교 – 통일강원연구원: 「난민위기의 새로운 양상과 국제사회의 대응」 단국대학교 – 고대문명연구소: 「고대 근동과 중국 문헌 전통 연구」 전북대학교 – 이재연구소: 「조선시대 과거 연보 DB 구축」 국립순천대학교 – 인문학술원: 「동아시아 냉전과 지역사회의 내파 연구」 건국대학교 – 다언어다문화연구소: 「포스트휴머니즘 기반 다언어 연구」 고려대학교 – 두뇌동기연구소: 「청소년 심리문제 진단 및 맞춤형 솔루션 연구」 서울대학교 – 아시아연구소 중앙아시아센터: 「유라시아 난민 연구」 고려대학교 – 독일어권문화연구소: 「한국전쟁 이후 한독 교류 관련 독일 자료 DB 구축」 경희대학교 – 스마트관광연구소: 「스마트관광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연구」 고려대학교 – 정보문화연구소: 「지능정보기술과 사회문제 해결 연구」 한국교원대학교 – 유아교육연구소: 「영유아교육 혁신 및 지원방안 연구」 동국대학교 – 교육연구원: 「지속가능한 학교안전 생태계 조성 연구」 경북대학교 – 사회복지연구소: 「지자체-지역대학 동반성장 혁신 체제 연구」 순천향대학교 –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: 「자살위기 정신건강 솔루션 연구」 중앙대학교 – 경제연구소: 「사교육 수요 원인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」 전남대학교 – 역사문화연구센터: 「오감과 음식 문화 연구」 동의대학교 – 영화·트랜스미디어연구소: 「포스트 시네마와 미디어 생태계 연구」
Comment 0
Add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