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#10 연구 주제 1차
Tasks
### [표 1] 뇌인지·공학·교육학 융합 연구 | 번호 | 논문 주제 | 공학 참여 | 교육학 참여 | 뇌인지 전공 참여 | |------|-----------|-----------|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--| | 1 | 가상현실(VR) 자극과 뇌파 반응을 이용한 기억 진위 판별 모델 | VR-EEG 연동 시스템 구축 | 교육 실험 설계, 참여자 훈련 | 기억 재현 뇌파 분석 | | 2 | 머신러닝을 활용한 범죄 재구성 시 뇌 인지 추론 검증 | ML 알고리즘 모델링 | 학습 커리큘럼 및 시뮬레이션 | 사건 기억 회상 뇌인지 해석 | | 3 | 청소년 범죄 예방을 위한 뇌파 기반 인지 훈련 프로그램 개발 | EEG 기반 훈련 시스템 개발 | 교육 프로그램 설계·평가 | 인지 조절·억제력 메커니즘 분석 | --- ### [표 2] AI 워싱 연구 (공학·경영학·철학 융합) | 번호 | 논문 주제 | 공학 참여 | 경영학 참여 | 철학(윤리) 참여 | |------|-----------|-----------|--------------|----------------| | 1 | AI 워싱 탐지 알고리즘 개발 및 기업 적용 사례 분석 | 자연어 처리 기반 탐지 모델 개발 | 기업 보고서·마케팅 분석 | AI 용어 남용의 윤리적 문제 검토 | | 2 | AI 워싱과 ESG 보고서의 신뢰성 검증 연구 | 데이터 마이닝 및 텍스트 분석 | ESG 경영 전략 평가 | 지속가능성 윤리 관점에서 검토 | | 3 | 정부 정책 보고서 속 AI 워싱 사례 분석과 규제 제언 | 정책 문서 분석 자동화 | 산업정책·규제 효과 분석 | 공공정책의 정의·책임 철학 검토 | | 4 | AI 인증·라벨링 제도의 윤리적 타당성과 워싱 방지 방안 | 기술적 인증 표준 연구 | 제도 설계·산업 적용 방안 | 공정성·정직성 철학적 기준 확립 | | 5 | 딥러닝 기반 텍스트 마이닝으로 본 AI 워싱의 언어적 특징 | 언어 모델 기반 패턴 분석 | 마케팅 언어 전략 탐구 | 언어의 윤리적 사용 문제 고찰 | | 6 | AI 워싱과 기술 결정론: 사회적 신화와 윤리적 함의 | AI 기술의 실제 적용 검증 | 기술 수용과 시장 담론 분석 | 기술 결정론·윤리 철학 논의 |
Comment 0
Add a comment